용신 외의 글자들은 놀고 있는 閑神인가요?
문)
사주팔자에서 용신 외의 글자들은 놀고 있는 閑神인가요?
답)
八字 즉 8글자로 이루어진 명조를 분석해 보면,
희기(喜忌)의 귀속처 즉 나(我身)인 일간과 일간을 제외한 나머지 글자와의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대운과 세운 그리고 월운과 일진 등을 더하고
허자를 인정하면 일간과의 관계가 많이 복잡해지지요.
이들의 생극제화의 결과를 알려면, 그 적용순서와 건전도를 알아야 합니다.
명조에서 일간,용신,상신을 제외한 나머지 글자들도 動因이 있어 動하고 있으면
다른 動하는 글자와 생극제화를 합니다.
즉 당연히 閑神인 것은 아닙니다.
운세에서 動하게 하는 경우 용신이 될 수도 있고,
상신이 될 수도 있으며 또 이러한 것들의 희신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로 기신이 될 수도 있겠죠.
명조 原局은 이렇게 운세에 의해 변하게 됩니다.
"易"이란 변한다는 의미이죠...
소위 "용신무용론자"들의 비판 중 하나가
용신주의자들은 용신 외에 나머지 글자들을 무시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비판은 참으로 무책임한 겁니다.
용신을 중요시한다는 것이지, 용신 외 나머지를 무시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용신을 정해서 단순히 용신의 설생만을 따지는 희신법이면 공부할 것이 뭐가 있고
인생이 왜 이렇게 복잡하겠습니까?
또 용신무용론자들은 용신무용론 등을 주장하면서 용신론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몇몇의 용신무용론자들은 명조 原局을 통채로 보는 기법이나 알고서나, 남을 비판은 하는 것인지...
공부를 할 때 우선은 정법을 따라야 합니다.
용신을 정해서 그를 기준으로 희기변화를 따지는 방법이 아니고
원국을 전체로 보는 방법을 자신의 통변법으로 선택을 하게 되더라도
명리학에서 일반적으로 연구되고 언급되는 내용들에 대해서 공부는 한 뒤에,
그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