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론(健全論)

모다멸자의 상태의 일간무근격

諸乙 2016. 5. 9. 14:36


다음 역학동에 올라 온 명조다.

 

시 일 월 년

庚 庚 戊 甲     乾

辰 子 辰 辰     辰巳공망

 

경제학박사, 대기업임원이라고 한다.


오행구족상 丙丁己辛결여인데, 갑진납음으로 를 보하고 있다.

명조가 火氣를 선용하니 관로를 걷거나 대규모 조직을 원한다.


차명은 삼신균정론에서 "일간무근격"으로 분류하는 명조의 하나다.

辰子회지가 쟁합하여 허지 이 인합되지는 않기 때문에 虛根도 가지지 못하고 있다.



운의 喜忌는

일간의 통근지인 金局과 일간 외 動字의 靜因運(己癸乙)을 기뻐한다.

초년 기사운과 임신운부터의 금국에 발흥한다.


또 차명은 모다멸자(母多滅子)의 상태인데, 母多 즉 印重할 경우 透食이 우선이나

일간이 무근하면 식재관 모두가 부담이 되어 상신으로 쓸 수가 없다.


다만 인성을 극제하는 의 건왕운은 불리하지 않다

이때 財를 상신으로 쓰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六庚日生時庚辰은 재관을 기뻐한다고들 하고 있으나

이는 명조마다 다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