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動_건륭제 사주
1.
청나라의 리즈(?)시절의 황제 건륭제(乾隆帝)의 명조다.
지난 글에서 언급했던 건륭제의 명조를 어떻게 보느냐는 문의가 있어
이렇게 다른 글로 올려 본다.
이 사주에 대하여 다양한 통변과 해석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여기서는 "삼신균정론(三神均定論)에 의한 통변"을 한다.
건륭제의 명조는 삼신균정론의 이론적 기반 중 하나인 “新동정설(只動攻動)”의
대표적인 예가 되기도 한다.
2.
사람의 명조의 대부분은
動하는 글자와 動하지 않는 글자가 섞여 있고
운에 따라 동정(動靜)이 서로 바뀌면서 得失의 변화를 가져오는 형태가 일반적인데
일부의 명조는 原局 자체가 “전동(全動)”하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閑神도 존재하지 않고 사주팔자 전부가 동하고 있는 것이다.
건륭제가 그 예 중 하나인데
이러한 명조들은 運에서 오는 글자에 의해 많은 변화가 있게 되므로
희기반전이 극명하게 나타나곤 한다.
그래서 “全動”의 명조는 단명하거나 극단의 삶을 살아가기 쉽다.
과연 건륭제도 그랬을까? 살펴보자.
건륭제의 명조는 다음과 같다.
시 일 월 년
丙 庚 丁 辛
子 午 酉 卯 戌亥공망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丙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눈에 띄는 것이 子午卯酉의 四正의 沖이다 도화, 패색 등이 느껴지는 모습인데
이 沖으로 인해 사지(四支)가 모두 動한다.
사주팔자 어느 하나 노는 글자가 없다.
한신(閑神)이 없는 명조다.
하지만 자오묘유를 우선 통변할 것이 아니니 용신과 상신을 찾아 본다.
양인격이 辛겁재로 투했으니 겁재용신인데
양인이 투한 것이니 팔자 전체의 힘의 절반이상이 용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겁재용신이니 逆用할 글자를 찾아보면
혼잡된 丙丁관살이 있다.
차명의 경우도 혼잡된 관살의 순일운이 중요하지만
명조의 겁재용신이 편왕하여 관살의 혼잡도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주변인들은 무척 힘이 들겠지만...
양인용살 혹은 겁용관살격인데
지지에서 沖으로 동하는 卯子가 상신자리를 두고 다투고 있다.
하지만 午에 통근한 丙丁의 건전도가 높으니 상신이 되는 것이다.
三神 즉 일간, 용신, 상신이 모두 건왕하여 삼신균정된 명조다.
운로가 火局에서 木局으로 흐르니
매우 유리한 흐름이다.
다만 명조 내에서 子상관이 항상 동하고 있으니 관살을 극제하려는 모습인데
이는 곧 민란이나 반역 등 권위에 대항하는 세력이 끊이지 않았음을 말해 준다.
또 卯정재가 항상 동하여 군겁쟁재의 폐도 있었을 것이니
결국 국고가 탕진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고...
건륭제는 개인적으로 보면 한 평생 자기 마음대로 하고 살았을 것이나
이런 명조가 우두머리로 있는 조직이나 나라는 반드시 기울어 질 수 밖에 없다.
재성이 견고(堅固)하지 않고, 인성이 약하니 백성의 삶은 큰 진일보가 없다.
단지 가진 것을 소모하는 모습일 뿐이다.
오늘날은 대부분의 국가가 장기집권을 용인하지 않은 모습이니 다행이지만
이러한 명조가 장기집권하면 그 후의 모습이 어떻게 될 지는 말하지 않아도...
3.
건륭제의 명조에서 보는 沖으로 動하고 있는 재성을 보고
財星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여담으로 말해 본다.
사람의 명조에서 財는 필수불가결이다.
최소한 납음이라도 존재해야 한다.
현대와 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재성이 “어떤 모습으로 존재해야 하는가?” 이다.
록왕지에 통근하여 건왕하게 투간한 재성은
재물의 습득에는 매우 유리할지 모르나
운로가 불리해 져서 군비쟁재의 폐해를 가져오는 경우에는
바닥으로 끝없이 추락하는 경우도 많다.
추락하는 것에는 날개가 없다는 말이 실감날 정도로...
따라서 명조에 재성은 분명히 존재하되
투하지 않고 지지에서 動하지도 않은 상태로 있는 것이 좋다고 본다.
빠르고 큰 재물의 출입은 없어도
護財하는 정관이나 生財하는 식신의 도움을 받으면
재물 창고 즉 재고(財庫)로서 제 기능을 다하여
삶을 윤택하게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