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기초

소위 "신강격(身强格)" 명조

諸乙 2018. 1. 18. 03:06


이하 명조는 다음 역학동 변화의 님이 올린 글에서 가져온 학원운영 명조다.

 

乾命 ()194981970

 

시 일 월 년

丁 辛 壬 己

酉 巳 申 丑     申酉공망

 

74 64 54 44 34 24 14 4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1. 일간억부법에 의한 통변

 

일간억부법이라 할 수 있는 신강격(身强格)” 판단방법에 의해 통변하자면

 

일단 명조에서 가장 강왕한 글자는 일간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월지에서 겁재를 얻고, 년지에 통근하였으며

巳酉회지에도 통근한데다가


편인의 생조를 받고 있으니 아주 태왕하다 할 수 있는 일간이 된다.

 

따라서 食財官운을 기뻐하게 되는 전형적인 신강격(身强格)”이 된다.

 

대운의 흐름이 초년 火局에서 木局으로 흐르고

다시 水局을 만나고 있으니

 

官財食의 순서로 대운을 만나고 있다.

불리한 운은 무진운 즉 인성운을 만난 정도 밖에 없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좋다.

 

상세히 보아 형충회합에 의한 희기반전을 살피면 현 을축운도 불리한 운이 된다.

巳酉丑 삼합금국이 완전하여서 일간은 더욱 강왕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태과(太過) 혹은 불급(不扱)한 오행에 해당하는

장부가 병이 나기 쉽다는 점을 생각하면 을축운에 발생한 병증을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명조에서 가장 강왕한 글자가 일간인 명조

즉 소위 신강격의 희기를 판단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소위 신약격인데도

식재관 운에서 발복한 경우를 통변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2. 삼신균정론(三神均定論)에 의한 통변

 

삼신균정론은 명조에서 가장 강왕하게 동하는 글자를 용신으로 삼고

이 용신에 대응하는 상신 그리고 일간 3자의 균정을 살피는 방법이다.

 

이 명조를 삼신균정론에 의해 통변하자면

원국은 겁격(劫格)으로 월지 에 통근한 상관이 용신이다.

 

하지만 건전도의 우열이 뚜렷하지 않은 칠살과 편인이 상신을 두고 다투고 있어

원국 자체로만은 성격되지 못한 명조가 된다.

 

 

다만 삼신균정론은 대운에 따른 "용신변화"나 "상신변화"를 인정하므로

이하 대운에 따라 통변해 본다.

 

庚午運

 

비견으로 용신변화가 있는데 이 역시 일간처럼 편왕한 용신이 된다.

일간과 비견용신 모두 편왕할 경우는 관살에 의한 보다 透食이 가장 우선된다.

 

따라서 상신이 되는 상관의 건전도가 낮지는 않아서 명조가 秀氣流行되었고

상관을 설루하는 재성이 원국에 부재하여 일응 성격되어 유리한 대운이 된다.

 


戊辰運에서는

 

인성이 혼잡되는데 그 정도가 심하여 수가 상관이어도 식신봉효와 다르지 않아서

패격이다. 하는 일마다 막힘이 있는 불리한 운이다.

 


이후 木局

명조에서 결여된 木氣를 만난 운이니 先用된다.

더구나 木氣를 얻어 疏土하여 己土濁壬의 불리함이 해소되기도 하는 운이니

더욱 좋을 수 밖에 없다.

 

丁卯運

 

丁壬合으로 용신변화가 있는데 대운지 의 생조를 받는 시간 칠살용신이 된다.

편인이 상신이 되어 七殺用印格으로 성격되니

권위와 임무를 부여받고 일하는 모습이 되겠다.

 

또한 언급한 것처럼 원국에 결여된 재성이 운에서 와서 선용되니

자신의 계획이 실현되고 또 재물의 유입도 수월한 운이 된다.


 

丙寅運

 

丙丁관살이 혼잡되어 불리하게 보이지만

巳酉회지로 동하는 금이 정관을 기반하여 합관류살(合官留殺)된 모습이고

 

대운지 을 충하여 동하므로 忌神  己편인도 기반되어

오히려 명조가 더욱 맑아졌다.

 

傷官駕殺로 성격되었다.

편왕한 일간이 상관과 칠살을 쓰는 것이니 그 기세가 대단할 수 밖에 없다.

 


乙丑運

 

대운간 은 무근하고 대운지 丑이 원국의 삼합금국을 완전하게 하여

일간은 더욱 태왕해지는 모습이다.

 

정유년은 丁壬合으로 명조의 용신을 묶어 그 기능을 제한하고

년운지 가 방조하여 일간은 더욱 더 태왕해지니 불리한 해가 된다.

 

역시 태과하거나 불급한 오행에 해당하는 장부의 병증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니 金氣와 관련된 장부에 병을 얻은 것이 된다.

 


부동산에 관하여...

 

명주가 부동산으로 돈을 벌지 못한 점은 여러 통변을 할 수 있는데

가장 유력한 것은 인성 즉 편인이 忌神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겠다.

 

인성이 기신인 명조는 무엇인가를 문서로 가지는 것을 꺼려한다.

명주가 학원장이라는 타이틀을 벗어 버리려고 자주 시도한 점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