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용불일치_상관격의 다른 용신들 이하 자평진전과 적천수천미에 있는 명조다. 각 승상의 명조와 시랑(侍郞) 주목(州牧)의 명조. 格과 用의 불일치를 인정하는 삼신균정론의 입장에서는 모두 용신이 다르다. 이는 삼신균정론이 명조 내의 제일 강왕한 글자를 용신으로 보기 때문인데 격과 용이 항상 일치해야 한다는 입장.. 고전(古典)의 추명례 재통변 2019.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