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국(原局)과 운(運) 그리고 성패(成敗)와 삼신균정(三神均定) 1. 명조 原局과 運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 이러한 의문은 계속되고 있다. 더하여 "성격(成格)됨"과 "삼신균정(三神均定)됨"의 차이는? 페라리나 람보르기니 같은 슈퍼카도 시골길을 가면 최대의 능력은 발휘할 수 없음은 당연지사. 하지만 명조 원국의 생김 즉 成格 유무는 더 중요한 것도 .. 명리기초 2020.01.06
지지장둔가(支地藏遁歌) 1. 다음은 연해자평의 지장간에 관한 글 즉 지지장둔가인데 실관(實觀)을 할 때의 상황과 모두 일치하는가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다. 子宮癸水在其中, 丑癸辛金己土同, 寅宮甲木兼丙戊, 卯宮乙木獨相逢, 辰藏乙戊三分癸, 巳中庚金丙戊叢, 午宮丁火倂己土, 未宮乙己丁共宗, 申位庚金壬水.. 명리기초 2018.09.22
소위 "신강격(身强格)" 명조 이하 명조는 다음 역학동 변화의 道님이 올린 글에서 가져온 학원운영 명조다. 乾命 (양)1949년 8월 19일 酉시 70세 시 일 월 년 丁 辛 壬 己 酉 巳 申 丑 申酉공망 74 64 54 44 34 24 14 4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1. 일간억부법에 의한 통변 일간억부법이라 할 수 있는 “신강.. 명리기초 2018.01.18
귀격(貴格)과 상관(傷官) 1. 명리학적으로 “귀격(貴格)”은 무엇일까? 문자 그대로 희귀한 명조인가? 아니면 선하고 착한 명조? 신분이 높고 좋은 명조? 귀격은 선악(善惡)개념이 포함되어 구별되는가? 하지만 선악은 명리학에서 말하는 吉凶과는 일치하는 개념이 아니다. 명리학에서는 명조에서 드러난 표지로 .. 명리기초 2017.11.06
자평진전의 록겁격에 대하여 1. 諸乙은 비록 부업으로 하고는 있지만, 직업술사라 할 수 있다. 명리를 배우고 현업에 종사하게 되었을 때 처음 느낀 것 중 하나는 책에서 보는 명조는 대박(?) 아니면 쪽박(?) 명조들이라는 것이다. 실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가운데 있는 평범한 모습이었다. 2. 제을이 “삼신균정론”.. 명리기초 2016.12.03
氣에 의한 극설생조와 質적인 형충회합의 구별 氣에 의한 극설생조와 質적인 형충회합의 구별에 대해 문의가 있어 겸사겸사 역학동 서윤님의 명조를 통해 알아 본다. 삼신균정론이 록겁월 비겁용신을 인정하는데, 서윤님의 명조는 참으로 이에 부합되는 명조라 할 수 있다. 을해대운 병술년을 살펴보자. 시 일 월 년 운 세 己 甲 戊 乙 .. 명리기초 2016.10.03
채권자를 살해한 사주에서 본 칠살 시 일 월 년 운 세 戊 甲 庚 癸 甲 戊 坤 辰 辰 申 巳 子 寅 寅卯공망 ▶갑자운 무인년에 채권자를 집에 불러 수면제 먹이고 흉기로 살해한 명조라 한다. 1. 原局 칠살격. 명조 내 최강왕동자는 庚칠살이다. 庚칠살용신이 戊편재를 보아 패격이다. 甲일간은 辰중 乙에 多根하지만 일간공망이.. 명리기초 2016.08.16
종살격인가? 음/평: 1988년 12월 16일 08:00 여자 시 일 월 년 丙 癸 乙 戊 辰 未 丑 辰 申酉공망 75 65 55 45 35 25 15 5.1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대운: 역행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차명은 역학동의 “목화용”님이 올린 명조로 戊정관으로 종하는 종살격으로 통변하셨다고 한다. 이에 不從한다고 댓글을 다니 .. 명리기초 2016.06.12
칠살(七殺) 그리고 약살(弱殺) 1. 일간을 攻身하는 육신인 편관(偏官)은 그 흉함을 강조해서 칠살(七殺)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즉 制化됨이 약한 편관은 일간을 직접 공신하므로 칠살이라 하는 것이다. 이는 “일곱 번 째 자리에 있는 나(일간)를 殺할 수 있는 천간”를 말한다. 명조에 있는 흉신인 편관은 근본적으로 食.. 명리기초 2016.04.22
상진(傷盡) 1. 명조 내에서 육신(六神)들은 무엇을 제일 먼저 하려고 할까? 예컨대 상관(傷官)은 무엇을 제일 먼저 하려고 하는가? 상관은 역용(逆用)해야 하는 흉신이다. 이름 그대로 라면, 정관(正官)을 傷하게 하는 것을 제일 먼저 할 것처럼 보인다. 정관(正官)은 "나"인 일간을 극하지만, 귀기(貴氣).. 명리기초 2016.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