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용불일치 3

양인격(陽刃格)의 喜忌_인성(印星)과 재성(財星)

이하는 다른 분들이 많이 언급한 소위 “양인격(陽刃格)”들입니다. 양인격은 대표적으로는 “양인로살” 또는 “양인용살”로 성격되는데 즉 강왕한 월지인 陽刃이 관살을 相神으로 삼아 성격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물론 양인격을 소위 “신강격”의 대표명조로 분류하고 이 양인격의 관살을 喜神으로 보아 이론구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자평진전의 명명법에 따라 “용신+상신” 형태의 명명을 하겠습니다. 즉 양인이 용신이 되고 관살은 희신이 아닌 상신이 됩니다. 이 점을 유의하고 읽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하 평어체로 적습니다. 명조1) 坤命 본각님 명례. 시 일 월 년 丙 庚 丁 丙 坤 戌 辰 酉 午 申酉공망 ▶양인격. 투간하지 않은(不透) 혼잡된 丙丁관살상신 양인용살의 패격 혼잡된 관살의 순일운 辛壬을..

격(格)과 용(用)의 분리 1

1. 格用 분리 사고방식의 도입 월지 즉 格 또는 格神은 선천적이며 주어진 것이다. 따라서 변할 수 없다. 즉 운에 의해 달라질 수 없는 것이다. 무엇을 용신이라 하는가는 곧 “용신”을 어떻게 구하느냐의 문제가 되는데 삼신균정론은 “명조 내 제일 강왕한 글자”를 용신으로 정하여 格과 用神이 동일할 수도 있으나 다를 수도 있음을 인정한다(格用不一致) 따라서 대운에 따른 “格의 변화”는 있을 수 없으나 “用神의 변화”는 인정하여 이에 따른 상신과 희신을 찾아 통변하게 된다. 만약 용신을 “일간의 喜神”으로 본다면 격용일치와 불일치를 따질 필요가 없다. 하지만 소위 “일간억부법”에서 시작된 일간의 희신을 용신으로 보는 방법은 “신강격” 명조보다 “신약격” 명조의 희기판단에서 잦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선천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