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망 즉 난동(空亡卽難動) 명리학상의 공망(空亡)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고 통변에의 적용여부도 다르지만 삼신균정론에서 보는 공망은 다음과 같다. 1. 우선 일주기준 공망만 주로 판단한다. 그 이유는 명조의 喜忌의 결과귀속은 일간에게 있기 때문이다. 2. 공망의 의미는 동정설(動靜說)의 수정된 입장을 따.. 건전론(健全論) 20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