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변화와 길흉의 상대성 역학동 淸雲님이 올린 명조다. 이 명조를 三神均定論에 의해 통변해 본다. 坤 (양)1981년 2월 23일 06:05 시 일 월 년 癸 壬 庚 辛 卯 申 寅 酉 戌亥공망 74 64 54 44 34 24 14 4 己 戊 丁 丙 乙 甲 癸 壬 辛 亥 戌 酉 申 未 午 巳 辰 卯 19세 己卯년 대입낙방 20세 庚辰년 재수해서 전문대 유아교육과 입학.. 삼신론(三神論) 2017.12.13
칠살(七殺) 그리고 약살(弱殺) 1. 일간을 攻身하는 육신인 편관(偏官)은 그 흉함을 강조해서 칠살(七殺)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즉 制化됨이 약한 편관은 일간을 직접 공신하므로 칠살이라 하는 것이다. 이는 “일곱 번 째 자리에 있는 나(일간)를 殺할 수 있는 천간”를 말한다. 명조에 있는 흉신인 편관은 근본적으로 食.. 명리기초 2016.04.22
명리상의 形態와 狀態 <역학동의 명리마당에도 올린 글입니다. 이 내용 역시 三神均定論의 일부가 됩니다.> 명리상의 形態와 狀態를 굳이 구분하여 형태를 “類型”의 의미로 한정하고 상태를 “狀況”의 의미로 본다면, 명리상의 格局은 “형태”가 되겠다. 즉 재왕생관, 식상제살 등의 용신과 상신으로 .. 명리기초 201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