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론(三神論)

용신(用神)을 정함_한 시간 차이의 명조 비교

諸乙 2019. 1. 4. 01:49



아래의 명조는 다음 역학동에 산처럼님이 올린 명조다.


이를 삼신균정론으로 용신을 정해 본다.


乾命1.                                                          乾命2.
 
시 일 월 년                                                     시 일 월 년
丙 丁 丁 戊                                                     丁 丁 丁 戊
午 亥 巳 辰                   午未공망                          未 亥 巳 辰
 
81 71 61 51 41 31 21 11 1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未 午
 
건명1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S에너지에 입사하였고


건명2는 졸업 후 취업이 되지 않았고 아버지가 하는 부동산 일을 따라 배우다가 여의치 않았는데 甲午년ㅇ 명동에 있는 가게 판매원으로 취직했다고 한다. 사람은 착하다고 한다.
 
1.
오행구족상
건명1은 辛결여. 건명2도 辛결여되었다.
 
午丁공망은 모두 해소되었다.
 


2. 

월겁격으로 동일한데



건명1은 



혼잡된 丙丁비겁이 명조 내 최강왕동자(最强旺動字)로서 용신인데(삼신균정론의 용신법)


 巳亥沖으로 동하는 亥가 丁을 기반하여 용신이 순일된 것과 같다.
 


년간 戊상관이 상신으로 건왕하여 겁용상관(劫用傷官)의 모습이 된다.
 
초년 무오,기미운은 식상이 중첩, 혼잡되지만 명조가 수기유행(秀氣流行)하니 유리한 운이 된다.
 
 
건명2는 



건명1과 달리 중첩된 丁비견이 최강왕동자가 아니다. 



년간 戊상관이 辰巳未에 다근(多根)하여 편왕하므로 최강왕동자로 용신이 된다.


 
중첩된 丁비견 중 하나는 亥가 기반하여 상관용겁의 모습이 되는데
 
상관용신이 재성이나 인성을 보지 않아 상진(傷盡)되지 않았으니 격이 떨어진다.


 
초년 무오, 기미운은 용신이 중첩되고 혼잡되는데 용신의 순역(順逆)에 



부합하는 상신을 보지 못하여 명조가 성격되지도 못하였고 균정하지도 않다.


 
상관용신이 인성을 보지 못하고 용겁하니 귀가 얇아 줏대가 없고 학문으로 성공하지 못한다. 


다만 이후 金局을 만나 상관생재로 성격되면 富의 행보를 할 것이다.




이처럼 생시의 차이에 의해서도 용신이 다르게 정해지고 이에 부합하는 상신도 다르게 된다.




또한 겁용상관과 상관용겁은 비겁과 상관의 관계이나 어느 쪽이 용신이 되느냐에 따라 



희기(喜忌)가 다르다. 





이는 편인투식과 식신봉효에 있어서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