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무근격 명조의 희기_삼신균정론 다음 역학동 만현님이 올린 명조다. 탐색문의 공개강좌(二、木之天賦秉性和性格行爲破解 편)의 명조라 한다. 시 일 월 년 己 丙 乙 癸 乾 丑 辰 卯 丑 (寅) 76 66 56 46 36 26 16 6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未 申 酉 戌 亥 子 丑 寅 1. 이를 재다신약의 정격으로 보거나, 정관 선용의 방법론을 적용.. 건전론(健全論) 2016.03.26
동정설의 요의(了義) [ 動靜說의 요의(了義) ] 명조(命造)는 팔실자(八實字)와 생성되는 허자(虛字)로 표현되는데 이 글자들이 의미하는 육신(六神)의 동정(動靜)과 건전(健全)은 서로 다른 문제이다. 동(動)하여서 서로 극설생조(剋洩生助)하고 있는가와 그것은 건전(健全)한가는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하지.. 삼신균정론의 新 動靜說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