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신(我身)은 무엇인가? 1. 아신(我身)은 무엇인가? 무엇이 “나”인가? 이는 명조의 최종적인 성패(成敗)가 무엇에 귀속되는가 이다. 2. 일간(日干)을 我身으로 보는 입장이 많지만 가끔은 “원국(原局)을 통째로” 즉 전국(全局)을 我身으로 보는 입장도 있다. 이런 입장에서는 일간이 희기(喜忌)의 출입처 내지 .. 명리기초 2016.03.27
삼신균정론(三神均定論)의 시작 1. 諸乙이 명리학을 접한 것은, 서울올림픽이 끝나고 그 열기가 가라앉기 시작하는 무렵이었다. 그 무렵 큰 수술을 하여 생사의 경계(生死의 境界)에 대한 고민이 다시 시작되었기에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려는 학술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비록 용맹정진하지는 못했으나 평주를 .. 명리기초 2016.03.17
생조(生助)와 방조(幇助)의 차이 트럼프에 대한 글에서 언급한 미국 대선 후보에 대한 이어지는 글입니다. 이번에는 트럼프를 쫒고 있는 테드 크루즈에 대해 알아 봅니다. 이 역시 三神均定論에 의해 통변합니다. 테드 크루즈(Rafael Edward "Ted" Cruz) (양)1970/12/22 01:00 시 일 월 년 戊 丙 戊 庚 子 子 子 戌 申酉공망 55 45 35 25.. 명리기초 2016.03.08
간지암합(干支暗合) 문1) 간지암합이 천간과 지지의 지장간사이에 합이되는 경우라는 건 알겠는데, 왜 壬午 , 戊子, 丁亥, 辛巳 로 구성되는지요? 답1) 천간과 지지는 그 속성상 음양을 나누는데, 천간과 지지를 짝지을 때 음끼리, 양끼리 짝을 짓습니다. (배속:配屬). 갑병무경임은 五陽干이고요, 을정기신계는 .. 명리기초 2016.02.21
간합(干合)의 분별(分別) 천간의 합 즉 간합(干合)은 나뉘어 분별되어야 한다. 즉 간합은 서로 합에 대응하는 천간이지만 서로 떨어져 있어 간합되지 않는 요합(遼合)이 있고 서로 합하여 신속히 去(제거)되는 합거(合去)가 있다. 또 일간과 월간 또는 시간이 합하여 화(化)하는 합화(合化)가 있어서 그 화신(化神)이.. 명리기초 2015.04.11
명리상의 形態와 狀態 <역학동의 명리마당에도 올린 글입니다. 이 내용 역시 三神均定論의 일부가 됩니다.> 명리상의 形態와 狀態를 굳이 구분하여 형태를 “類型”의 의미로 한정하고 상태를 “狀況”의 의미로 본다면, 명리상의 格局은 “형태”가 되겠다. 즉 재왕생관, 식상제살 등의 용신과 상신으로 .. 명리기초 2014.04.04
명리학에서의 先用 <이 글은 역학동 명리마당에 올린 글을 일부 수정한 것입니다. 三神均定論 중 일부의 내용이기도 합니다.> 先用! 어떤 것을 먼저 쓰는가의 문제인 先用의 順位를 정함은 아직 진행 중인 과제임은 분명합니다. 적어서 貴한 것을 먼저 쓰는가? 아니면 많아서 賤한 것을 먼저 쓰는가? 순.. 명리기초 201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