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진전의 록겁격에 대하여 1. 諸乙은 비록 부업으로 하고는 있지만, 직업술사라 할 수 있다. 명리를 배우고 현업에 종사하게 되었을 때 처음 느낀 것 중 하나는 책에서 보는 명조는 대박(?) 아니면 쪽박(?) 명조들이라는 것이다. 실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가운데 있는 평범한 모습이었다. 2. 제을이 “삼신균정론”.. 명리기초 2016.12.03
록겁격의 용신_비견 겁재는 용신이 되는가? <역학동에 올린 글 중 특정 명조의 통변을 제외하여 발췌해서 올린다.> 1. 일간 甲과 비견 甲 그리고 월지 寅에 대한 삼신균정론의 입장 1) 자평진전의 록겁격 심효첨은 비겁 특히 “비견”에 대해서 입장을 불분명히 하고 있는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2) 三神均定論 ① 삼신균정론은 .. 삼신론(三神論) 2016.10.03
고관무보(孤官無補)와 상신(相神) [ 孤官無補와 相補用神 ] 1. 命造의 기본구조가 월지제강에서 “명조 내 최강왕동자(最强旺動字)”를 용신으로 구하고 이 용신을 일간이 쓰는(用) 것이라고 한다면... 이렇게 구한 用神을 일간이 어떻게 用해야 하는가가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안된 것이 심효첨의 .. 삼신론(三神論) 2016.03.31
相神은 喜神인가? <역학동에도 올린 글입니다. 이는 자평진전에 근거하여 전개하는 글이니 상신개념을 인정치 않는 입장에서는 참고로만 하시기를...> 자평진전에서 말하는 “相神緊要”의 상신은 喜神과 같은 개념인가? 심효첨은 군왕과 재상에 비유하여(君之有相) 용신에 대한 상신의 중요성을 말.. 삼신론(三神論) 2014.04.25